안녕하세용,, 끄적이잉입니당,,,ㅎㅎ

출처 : 구글
오늘은 차트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단순이동평균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당,,ㅎㅎ
주식이나 비트코인 같은 차트에서 보조 지표를 누르면 알 수 없는 수많은 지표들이 있는데용,,
뭐가 뭔지 하나도 몰라서 제대로 활용할 수조차 없는데,,ㅠㅠ
하나씩 공부해보면서 나에게 맞는 지표들을 잘 활용한다면,,
조금 더 확률 높은 투자를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당,,ㅎㅎ
그럼 바로 단순이동평균(SMA, Simple Moving Average)의 의미와 뜻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당,,,ㅎㅎ
그래서 단순이동평균(SMA, Simple Moving Average) 이게 뭔데??

출처 : Investopedia
단순이동평균(SMA, Simple Moving Average)은 추세 지표(Trend Indicator) 중에 하나인데용,,
가장 기본적인 지표 중 하나입니당,,ㅎㅎ
먼저 이동평균이라고 하는 것은,,
단순히 지정된 기간 동안의 평균 가격을 말합니당,,
여기서 이동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이유는,, 차트에 막대바로 표시되면서 평균값이 변함에 따라 차트를 따라 이동하는 선을 형성하기 때문에 이동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고 합니당,,ㅎㅎ
그래서 즉, 단순이동평균은 특정기간 동안의 주식 평균 종가를 말합니당,,
주가가 계속 변함에 따라 이동평균도 그에 따라 계속 변하게 된다는 것인데용,,
단순이동평균을 구하는 목적은 이전 가격을 기준으로 주식의 가격이 움직이는 방향을 대략적으로 알아볼 수 있기 때문입니당,,
단순이동평균은 모든 데이터에 동일한 가중치를 부여하기에 일반적으로 단순이동평균의 라인이 다른 이동평균 선들에 비해 더 부드럽게 나타납니다,,
하지만 단순이동평균은 과거 종가를 사용해서 구성되기 때문에 지연지표라고 볼 수 있는데용,,
이는 단순하게 이전 추세를 선으로 표시할 뿐 미래 가격을 절대 예측하지 못한다는 의미로 볼 수도 있습니다,,

출처 : Commodity
그럼 단순 이동평균의 장점은 무엇이 있는가,,하면
간단하고 계산하기 쉬워서 누구나 쉽게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고,,
또, 가격의 노이즈를 줄여주기 때문에 신뢰적이고,, 안정적인 추세를 확인하는데 유용합니다,,
긴 시간 지평을 그대로 나누어서 평균을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가격 추세를 파악하기 효과적입니다,,
그럼 단점은..?
모든 데이터에 동일한 가중치를 부여하기 때문에 최근 데이터의 중요성이 반영되지 않는다는 점인데요,,
다른 말로 하면 단기적인 변동에는 반응이 느리기 때문에,,
최근에 어떤 흐름인지 파악하기에는 조금 어려울 수 있습니다,,
오케이,, 의미는 알겠는데,, 이게 어떻게 사용하는거라고???

출처 : Medium
단순이동평균(SMA, Simple Moving Average)은 추세방향을 결정하는데 자주 사용됩니다,,
쉽게 말해서 단순이동평균이 상승하면 추세는 상승하는 것이고,,,
단순이동평균이 하락하면 추세는 하락하는 것입니다,,
보통 200일 단순이동평균이 장기 추세를 보는데 많이 사용되고,,
50일 단순이동평균이 중간 추세를 측정하는데 많이 사용됩니다,,
더 짧은 단순이동평균은 더 단기적인 추세를 파악하는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처 : Investopedia
더 실전에 사용하려면,,
주가가 단순이동평균 위로 교차하면서 올라가면 롱포지션을 취하고,,
주가가 단순이동평균 아래로 교차하면서 내려가면 숏포지션을 가져갈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사용방법은,,
단기 SMA가 장기 SMA를 상향 돌파하면 골든크로스라고 부르며,,
단기 SMA가 장기 SMA를 하향 돌파하면 데드크로스라고 부르기도 합니당,,
단순이동평균 이거 어떻게 계산하는건데??
아까 단순이동평균의 장점이 단순하고 계산하기 쉽다고 했었는데용,,
누구나 단순이동평균을 한번쯤 구해봤을 것입니다,,
네 제가 단순이동평균을 구해봤다구요?? 저는 오늘 처음 들었다구용,,,ㅠㅠㅠ
저는 자신있게 단순이동평균을 구해봤을 거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것도 여러분이 바로 초등학교 때요,,,ㅎㅎ

단순이동평균을 구하는 계산식인데용,,
여기서 n은 이동평균을 구하는 기간을 의미하고,,
Pn은 n일의 가격입니다,,
이렇게 보면 뭐야 너무 어렵잖아라고 하실 수 있는데,,
단순이동평균은 단순히 지정된 기간동안의 주가 값의 평균을 의미합니다,,
즉, 특정 기간을 설정한 후에 그 기간 동안의 가격을 모두 더하고 그 합계를 해당 기간으로 나누어 평균을 구하면 됩니다,,ㅎㅎ
더 직관적이도록 예시를 한 번 들어보죠,,ㅎㅎ
1일
|
18$
|
2일
|
20$
|
3일
|
24$
|
4일
|
16$
|
5일
|
12$
|
6일
|
11$
|
7일
|
15$
|
8일
|
18$
|
9일
|
14$
|
10일
|
16$
|
여기서 해당 일에 따른 어떤 A라는 주가의 가격이 오른쪽에 나와있습니다,,
1일에는 18$였고 2일에는 20$,, 이런 식으로 흘러간다고 봤을 때 단순이동평균을 구해보겠습니당,,ㅎㅎ
5일 SMA(단순이동평균)을 구한다고 하면,,
10일이 가장 최근인 상황이니까,, 10일부터 최근 5일간의 주가를 더하고 5로 나누면 됩니다,,
(16 + 14 + 18 + 15 + 11) / 5 = 14.8,,
즉 현재의 5 SMA는 14.8이 되는 것입니다,,
그럼 10일 SMA는??
(16 + 14 + 18 + 15 + 11 + 12 + 16 + 24 + 20 + 18) / 10 = 16.4,,
현재의 10 SMA는 16.4가 되는 것입니다,,
물론 주가가 하루에 20%씩 오르고 내리지는 않기 때문에 위의 주가는 현실성이 조금 떨어지지만,,
계산하기 편하게 임의로 한 번 정해본 것이구용,,
그냥 특정기간을 정하고 그때까지 주가를 모두 더해서 그 기간으로 나누면 됩니당,,
즉, 쉽게 말하면 그냥 평균 구하는 방식입니당,,ㅎㅎ
아까 제가 한 번쯤 해봤을 거라고 했던 이유가 여기에 있는데용,,ㅎㅎ
이렇게 평균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장기 단순이동평균일수록 단기간의 변동성이 반영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는 것입니당,,ㅎㅎ
이렇게 단순이동평균(SMA, Simple Moving Average)에 대해 알아보았구용,,
전부터 말씀드렸듯이 지표는 단순히 지표일 뿐이지,,
한개의 지표를 맹신해서 투자에 올인하는 것은 자산을 지키지 못하는 방법입니다,,
자산을 지키기 위해서는 여러 지표도 같이 활용하고 지표뿐 아니라 투자 공부와 종목 공부도 열심히 해야하는데용,,
기술적 분석을 위한 지표들은 아직도 엄청 많은데용,,
이렇게 하나씩 공부하다보면,,
나중에 많은 경험과 지식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 확신합니당,,ㅎㅎㅎㅎ
어렵기만 했던 지표 이름들과 의미들이 나중에는 나를 위해 투자를 도와주는 지표들이 될 수 있겠죵??ㅎㅎㅎ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라볼릭 SAR(PSAR, Parabolic Stop and Reverse)의 의미와 뜻에 대하 (0) | 2025.03.05 |
---|---|
지수이동평균(EMA, Exponential Moving Average)의 의미와 뜻에 대하여 (0) | 2025.02.27 |
자본주의 속 은행의 의미에 대하여 (0) | 2025.02.25 |
모니모 KB 매일 이자 통장 사전 예약 이벤트 참여하는 방법 총정리!!! (0) | 2025.02.25 |
자산배분 투자의 의미와 방법에 대하여 (0)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