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용,,, 끄적이잉입니당,,ㅎㅎ
오늘도 이어서 모멘텀 지표 중 하나를 알아보려고 하는데용,,ㅎㅎ
저번에 스토캐스틱도 공부했고,, RSI도 공부했었는데,,
이번에는 두개를 합친 보조 지표라고 합니당,,ㅎㅎ
어떤 의미를 가질지, 어떤 장점을 가질 지 기대가 되는데용,,ㅎㅎ
과연 왜 스토캐스틱과 RSI를 합쳤을까용??ㅎㅎㅎ

출처 : Commodity.com
바로 스토캐스틱 RSI(Stochastic RSI, Stochastic Relative Strength Index) 인데용,,ㅎ
처음에 들었을 때 어떻게 두 지표를 합쳤을 지 궁금하더라구용,,ㅋㅋ
(I have a Stochastic,, I have a RSI,, 어,, Stochastic RSI,,,)
죄송합니당,,ㅋㅋ
그럼 바로 스토캐스틱 RSI(Stochastic RSI, Stochastic Relative Strength Index)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당,,ㅎㅎ
스토캐스틱 RSI(Stochastic RSI, Stochastic Relative Strength Index)?? 이름부터 너무 길고 낯선데,, 설명해줘!!

출처 : Investopedia
스토캐스틱 RSI(Stochastic RSI, Stochastic Relative Strength Index)은,, RSI의 민감도를 더 높이기 위해 개발되었고,, 과매도/과매수 신호를 더 자주 보이는 보조 지표인데용,,
기존 RSI에 확률 지표의 개념을 결합시킨 기술적 분석 지표입니당,,
스토캐스틱 RSI는 투샤르 샹드(Tushar Chande)와 스탠리 크롤(Stanley Kroll)이 개발한 지표로,,
1994년 그들의 저서인 The New Technical Trader에 소개된 지표입니다,,

출처 : Dzengi.com
스토캐스틱 RSI 지표는 RSI의 고가~저가 대비 현재 RSI의 위치를 나타낸 오실레이터 지표인데용,,
Stochastic 공식에서 주가 대신에 RSI를 대입하게 되고,, 똑같이 0~100의 값으로 과매수/과매도를 판단합니다,,
스토캐스틱 RSI(Stochastic RSI, Stochastic Relative Strength Index)의 의미는 N일 기간 동안 RSI 최대 - 최소 대비해서 현재 RSI 값의 현재 위치를 의미합니다,,
단, N일 동안 벌어진 일과 상관 없이 최대와 최소만을 가지고 고려하기 때문에 N이 너무 길면 그 기간 동안의 신뢰성을 떨어뜨릴 수 있어서 상황에 맞게 잘 조절해서 사용해야겠죵??ㅎㅎㅎ
여기서 잠깐!!! RSI랑 뭐가 다른건데??
스토캐스틱 RSI(Stochastic RSI)는 RSI의 둔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RSI보다 민감하게 만들어진 보조지표이기 때문에 더 빠르게 그리고 더 자주 과매도/과매수 구간을 움직입니다,
다만 더 민감하게 만들어졌기 때문에 잘못된 신호를 보낼 때도 있어서 주의해야 하는데용,,
따라서 N과 M, T기간을 적절하게 사용해야 잘못된 신호를 줄일 수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둔감한 RSI는 장의 추세 전환을 알아내는데 용이했습니다,,
상승추세에서 RSI 지표 값이 과매수 구간에 들어서면 하락 추세로 전환된다고 보고,,
하락추세에서 RSI 지표 값이 과매도 구간에 들어서면 상승 추세로 전환된다고 봤는데요,,
스토캐스틱 RSI(Stochastic RSI)은 상대적으로 민감하기 때문에,,
추세가 뚜렷하지 않은 횡보장처럼 박스권 움직임을 보일 때 반등이나 반락을 확인하는데 유용합니다,,
스토캐스틱 RSI(Stochastic RSI, Stochastic Relative Strength Index)은 어떻게 구하는거야!!!!
음 우선,, 공식 자체로는,,

Stochastic RSI(%K) = (N일 RSI - N일 RSI의 M일 최소값) / (N일 RSI의 M일 최대값 - N일 RSI의 M일 최소값)
으로 구하게 되는데용,,
Stochastic RSI의 현재 값을 나타내는 선으로 시장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선으로 사용됩니다,,
Stochastic RSI(%D) = %K의 T일 단순 이동 평균
으로 구하게 되구용,,
%D선은 %K선의 이동평균선이므로 %K선의 변동성을 보다 더 부드럽게 하여 신호의 신뢰성을 높이고 %K보다 느리게 반응하는 선입니다,,

RSI의 기간(N일)은 기본적으로 14일을 많이 사용합니다,,
%K를 산출할 때 돌아볼 과거 RSI의 기간(M일)은 기본적으로 14일을 많이 사용하며,,
%D를 구할 때 단순이동평균을 계산하는 기간(T일)은 보통 3일이나 5일을 많이 사용한다고 합니다,,
스토캐스틱 RSI(Stochastic RSI, Stochastic Relative Strength Index) 해석하는 방법도 알려줘!!!!
스토캐스틱 RSI(Stochastic RSI)가 20 이하이면 과매도, 80 이상이면 과매수라고 판단합니다,,
여기서 뭔가 이상함을 느끼셨나용??ㅎㅎ
바로 RSI는 30 이하이면 과매도, 70 이상이면 과매수라고 썼었는데,,
스토캐스틱 RSI는 20 이하이면 과매도, 80 이상이면 과매수라고 판단하며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하실 때 주의해야합니당,,ㅎㅎ

출처 : MarketMates
스토캐스틱 RSI(Stochastic RSI)가 20 이하라는 것은 현재 RSI 값이 과거 변동 범위의 하위 20%에 속하는 것을 의미하며 RSI 값이 과거와 비교했을 때 작다는 것을 의미하는데요,,
결국 낮은 RSI는 주가의 하락세가 상승세보다 높다는 것으로 주가가 많이 하락해서 현재 과매도 상태임을 나타냅니다,,
스토캐스틱 RSI(Stochastic RSI)가 80 이상이라는 것은 현재 RSI 값이 과거 변동 범위의 상위 20%에 속하는 것을 의미하며 RSI 값이 과거와 비교했을 때 크다는 것을 의미하고,,
결국 높은 RSI는 주가의 상승세가 하락세보다 높다는 것으로 주가가 많이 상승해서 과매수 상태임을 나타냅니다,,
추가적으로 더 확인해보면,,
스토캐스틱 RSI(Stochastic RSI)도 Divergence나 Cross 형태로도 해석이 가능합니다,,

출처 : Market Pulse
Bullish Divergence : %D의 저점은 이전 저점보다 높아지는데 주가의 저점은 이전 저점보다 낮아지는 경우
%D의 상승은 Stochastic RSI의 증가를 의미하므로 결론적으로 RSI가 증가하는 추세라고 볼 수 있습니다,,
주가가 하락하는 흐름에서 RSI의 증가는 주가 상승 변화량이 늘어났음을 의미하고,, 주가가 상승 추세로 전환된 것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출처 : Market Pulse
Bearsich Divergence : %D의 고점은 이전 고점보다 높아지는데 주가의 고점은 이전 고점보다 높아지는 경우
%D의 하락은 Stochastic RSI의 감소를 의미하므로 결론적으로 RSI가 감소하는 추세라고 볼 수 있고,,
주가가 상승하는 흐름에서 RSI의 증가는 주가 하락 변화량이 늘어났음을 의미하며,, 주가가 하락 추세로 전환된 것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Golden Cross : %K가 %D를 상향 돌파하는 것을 의미
Dead Cross : %K가 %D를 하향 돌파하는 것을 의미

출처 : 구글
이렇게 오늘도 모멘텀 지표 중 하나인 스토캐스틱 RSI(Stochastic RSI)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용,,
투자하는데 있어 조금이라도 도움을 받기 위해 지표를 만들고
그 지표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또 새롭게 변형하기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용,,
많은 지표를 알아두고 상황에 맞게 알아둔다면,,
조금 더 효용높게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리고 거의 모든 지표들이 변형하면서 Divergence나 Cross 형태로도 쓰이는데용,,,
그만큼 변동성도 크고 상황에 따라 과매수되거나 과매도되기에,,
지표만 100% 믿고 사여?라고 묻거나 투자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거시 경제나 다른 경제 상황들도 예의주시하면서 본인만의 철학이나 근거를 통해 투자 결정을 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당,,ㅎㅎㅎ
그래야 내가 뭘 틀렸는지도 알고,,
다음 번에 조금씩 보완하면서 조금 더 완벽한 투자자가 될 것 같은데용,,ㅎㅎ
함께 천천히 공부하면서 깊이를 더해가면 좋겠습니당,,ㅎㅎ
이상 스토캐스틱 RSI(Stochastic RSI, Stochastic Relative Strength Index)의 의미와 뜻에 대해 알아보았구용,,ㅎㅎ
이어서 다른 지표들도 하나씩 차례로 공부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당,,ㅎㅎ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년 03월 맥쿼리 인프라 500주 모으기 #6 (1) | 2025.03.25 |
---|---|
25년 03월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ETF 1000주 모으기 #8 (0) | 2025.03.24 |
설문조사 앱테크 추천 패널나우 리뉴얼 소식 추천인 P3139922 (0) | 2025.03.19 |
상대강도지수(RSI, Relative Strength Index)의 의미와 뜻에 대하여 (0) | 2025.03.17 |
스토캐스틱(Stochastic)의 의미와 뜻에 대하여 (0) | 2025.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