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용,, 끄적이잉입니당,,ㅎㅎ
네트워크 효과(Network effect)의 의미와 뜻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당,,ㅎㅎ
네트워크 효과를 처음 들어본다고 하시는 분도 있으실텐데요,,
사실 네트워크 효과는 우리 일상에서 바로 근접하게 위치해있고,,,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모든 것들에도 이미 적용되어 있는 부분입니당,,ㅎㅎ
바로 플랫폼 형태나 소비하는 습관에서도 네트워크 효과가 적용되어있다고 볼 수 있는데용,,ㅎㅎ
이렇게 이야기하면 조금 추상적일 수 있으니,,
그럼 바로 네트워크효과(Network effect)의 의미와 뜻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당,,ㅎㅎ
그래서,,, 네트워크 효과(Network effect)가 뭐라고??

출처 : Investopedia
네트워크 효과(Network effect)의 기본적인 정의는 어떤 특정 상품에 대한 수요가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는 효과를 의미합니다,,
사람들이 서로 서로 네트워크를 형성하면서 수요를 점점 확산해나간다는 의미의 경제적인 현상인데요,,
네트워크 효과 이론의 기초는 1950년대 미국 하비 라이벤스타인(Harvey Leibenstein)이라는 분이 만드신 이론입니당,,
즉, 네트워크 효과는 다른 사람이 참여함으로써 기존 참여자가 느끼는 가치가 올라가는 것을 말합니다,,
이렇게 말하면 조금 어려울 수 있으니까,,
우리가 직접 사용하는 것들을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당,,

출처 : 구글
다들 카카오톡이나 배달의 민족 사용하시지 않나요??
여기서 대부분은 아마 사용하고 계실텐데요,,
저번에 카카오톡에서 장시간 동안 서버가 다운되면서 카톡이 셧다운되는 일이 있었는데요,,
그때 당시에만 해도 사람들끼리 서로 연락도 안되고,,
카카오톡에 연계되어있는 서비스들이 줄줄이 먹통이 되면서 사용자들로 하여금 많은 불편함과 불만을 토로했던 사건을 기억하실겁니당,,
그때 라인에서는 파격적으로 광고하면서 사용자들을 끌어모으기 위해서 노력했고,,
주변에서는 카카오톡 안쓴다고 하는 사람들도 있었지만,,
지금은 다들 언제그랬냐는듯이 카카오톡을 잘 사용하고 계시죠??

출처 : Medium
이건 이미 네트워크 효과가 적용되었기 때문인데요,,
너무 많은 사람들이 카카오톡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제가 카카오톡을 탈퇴한다고 하면,,
저만 불편하기 때문입니다,,
즉, 네트워크 효과는 제품이나 서비스 사용자 수가 많아질수록 그 가치가 증가한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그리고 그 가치가 증가하면 할수록 사용자는 더 늘어나게 되겠죠,,
오케이,, 대충 뭔지는 알았으니까,,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봐,,ㅎㅎ

출처 : 구글
음,, 네트워크 효과는 세부적으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눠진다고 합니당,,
바로 직접 네트워크 효과와 간접 네트워크 효과인데용,,

출처 : 구글
직접 네트워크 효과는,, 같은 종류의 사용자가 느끼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앞서 이야기했던 카카오톡이나 배달의 민족, 페이스북, Linkedin 등등이 있겠는데용,,
같이 사용하는 사람들끼리 가치가 증가하고 감소하는 것을 느끼는 것을 말합니다,,

출처 : 구글
간접 네트워크 효과는,, 다른 종류의 사용자가 늘어날 수록 해당 사용자가 느끼는 가치가 늘어나는 경우를 말하는데
예를 들면,, 우버나 에어비엔비, 카카오택시 등등이 있겠죠??
우버나 카카오택시 기사분들이 늘어나거나 에어비엔비 사업주분들이 늘어나면 사용자들이 더 편하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느끼는 가치가 늘어나게 됩니당,,

출처 : 매일경제
이외에도 상품을 소비하는 같은 맥락의 효과로는,,
편승 효과(Bandwagon effect)와 속물 효과(Snob effect)가 있는데용,,
편승효과(Bandwagon effect)는 많은 사람들이 사는 물건이라고 하면 필요 여부에 상관없이 따라사는 소비심리를 말하구용,,
속물효과(Snob effect)는 남들이 많이 사는 것은 구입하기 싫어하는 소비심리를 말합니당,,
간단하게 예시를 들자면,,
예전에 노스페이스가 유행하거나,, SNS에서 광고하거나 인플루언서들이 많이 사용한다는 물건이라고 하면 나에게 필요하지도 않은데 구매하는 심리가 편승효과가 되겠구용,,
남들이 많이 사지 않는 값비싼 물건들이나 명품들을 구입하려고 하는 소비심리를 속물효과라고 말합니당,,
오 그럼 네트워크 효과가 있는게 엄청 좋은거네?? 완전 경쟁력 있는거 아녀??

출처 : 구글
네트워크 효과가 적용되었다는 것은 이미 대다수의 사용자를 확보했다는 의미인데용,,
그렇게 되면 기업이 갖게되는 경쟁력이 존재하게 됩니당,,
첫번째, 높은 진입 장벽을 갖게 되는데용,,
이미 대다수의 사용자를 확보했기 때문에,, 해당 산업에 대해서는 거의 독접하고 있는 상태라 후발 업체들이 따라오기가 힘들다는 것입니다,,
아까 말씀드렸던 카카오톡이 이미 대다수의 사용자를 확보한 상태에서 라인이나 그 외 메신저들이 빈자리를 파고들려고 해도 네트워크 효과로 인해 사용자들이 이미 편리하고 대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해서 익숙한 플랫폼을 사용하기 때문에 점유율을 빼앗아오기가 힘들다는 것입니다,,
두번째, 이익률의 증가
이렇게 한 번 대다수의 사용자를 확보하게 되면,,
대량의 고객이 이미 확보가 된 상태이기 때문에 원가가 크게 증가하지 않고 오히려 감소하는 상황에서 매출은 계속 증가하기 때문에,, 매출당 원가비율이 급격하게 낮아지면서 이익률이 크게 상승하게 됩니다,,
세번째, 데이터 확보
사용자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사용자가 사용하는데에 있어 데이터가 쌓이게 되고,,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플랫폼을 더 개선하거나 성장하면서 더 많은 사용자를 끌어올 수 있게 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럼 좋은 것만 있나,,?? 네트워크 효과의 단점도 있어??

출처 : 구글
우선 네트워크 효과의 장점은,,
기업가들이 독특하고 효율적인 제품을 추구하도록 장려하게 됩니다,,
대다수의 사용자들을 끌어오기 위해서는 기존에 있던 서비스나 물건보다는 독특하고 사용자들의 불편함을 개선시켜줘야 해당 물건이나 서비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더 효율적이고 독특한 제품을 만들도록 장려하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위에서 봤던 경쟁력을 바탕으로 더 가치 있는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이점을 제공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오히려 더 늘어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게 되는데요,,
그리고 임계질량에 도달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게 됩니다,,
여기서 임계질량은,, 상당한 네트워크 효과에 필요한 사용자 수를 의미하며,,
이 사용자 수를 갖췄을 때 네트워크 효과를 가지게 되므로,,,
사용자를 확보하여 네트워크 효과를 만들어내는 것의 중요성을 더 강조하게 됩니다,,
그럼 반대로 네트워크 효과의 단점은,,
너무 많은 사람들이 네트워크를 사용하면 혼잡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인데요,,
갑자기 많은 사람들이 몰리게 되면 트래픽이 혼잡해지면서 서버가 다운되기도 하고 버퍼링이 걸리면서 혼잡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기업은 모든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용량을 확보해야하는데요,, 따라서 서버나 물건에 대한 재고를 확보하기 위해 초기 비용이 조금 들어갈 수 있습니다,,
기업들이 임계질량에 도달한 후에는 덜 혁신적일 수 있습니다,,
이미 임계질량에 도달하게 되면 사용자들이 빠져나가지 않으므로,,
이미 확보한 사용자들을 위해 더 효율적이고 가치있는 상품을 제공하지 않아도 된다는 착각에 빠지며,,
현 상황에 안주하게 되므로,, 계속적인 혁신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광 속 카나리아(Canary in a Coal Mine)의 뜻과 의미에 대하여 (0) | 2025.02.19 |
---|---|
갤럭시북3 프로 (NT960XFG-KC51G) 언박싱 및 내돈내산 실 사용 후기 (0) | 2025.02.18 |
엔 캐리 트레이드의 의미와 뜻에 대하여 (0) | 2025.02.13 |
R의 공포의 의미와 뜻에 대하여 (경기침체, Recession) (0) | 2025.02.12 |
저렴하고 수익률 좋게 금 투자하기 제일 좋은 방법 KRX 금시장 (1) | 202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