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10년물 국채금리 / 달러환율 / 엔화환율] (작성 시간 기준)
미국 10년물 국채금리 : 3.7290
달러 환율 : 1297.50
엔화 환율 : 913.83
[전세가율과 미분양주택수] (23.05 / 23.04)
전국 주택수 : 2,191만 7,200호
전국 전세가율 : 63.2%
경기 전세가율 : 62.2%
서울 전세가율 : 58%
인천 전세가율 : 65.1%
세종 전세가율 : 46.7%
전국 미분양주택수 : 7만 1,365호
경기 미분양주택수 : 7,480호
서울 미분양주택수 : 1,058호
세종 미분양주택수 : 156호
-출처 : KOSIS
[2023년 1분기 ~ 2025년 4분기 예상 입주량과 공급량]
서울 입주 : 69,830
서울 수요 : 144,344
경기 입주 : 262,481
경기 수요 : 205,868
세종 입주 : 7,755
세종 수요 : 5,739
-출처 : 부동산지인
[주택구입부담지수(K-HAI, Housing Afforadability Index)]
전국 : 81.4 (전기대비 증감률 : -8.8%)
서울 : 198.6 (전기대비 증감률 : -7.5%)
경기 : 107.5 (전기대비 증감률 : -10.8%)
세종 : 109.5 (전기대비 증감률 : -18.6%)
주택구입부담지수 : 중위소득가구가 표춘대출로 중간가격 주택구입 시 대출상환부담을 나타내는 지수
-> K-HAI는 지수가 낮을 수록 주택구입부담이 완화됨을 의미 // 지수가 높을 수록 주택구입부담이 가중됨
-출처 : 주택금융통계시스템
앞으로 추가로 KB 주간 시계열과 통계표도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지역정리 / 청약홈 / 국토교통부뉴스보도 자료 등도 계속해서 확인하면서 모의 매수와 계속해서 부동산 시세를 관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청약경쟁률과 공급량을 확인할 때는 멸실되는 양도 같이 확인해야 하며, 미분양 발생 이후 적정 수준의 공급이 지속되는지도 확인해야 합니다.
[개인적인 생각]
뉴스를 보다보니 역전세에 대한 이슈가 아직 뜨거운 것 같습니다. 이로인해 전세금대출에 대한 규제가 생길 수 있다는 견해가 있습니다. 아직 정해진건 없지만, 전세대출이 너무 과하기 때문에 전세값이 급상승한 걸로 보고 전세금 대출 제한을 두거나 원리금 상환으로 갚게끔 하려고 논의중이라고 합니다. 아직 정해진 건 없기 때문에 지켜볼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너나위님의 영상을 보다보니 저는 집을 사려고 할 때 관심있는 지역만 모니터링하다가 생각한 가격수준이면 구매해야 겠다고 생각했는데, 해당 가격 수준으로 다른 지역도 계속해서 모니터링하면서 더 오를 수 있는 지역을 찾아보는 것도 좋겠다는 말을 듣고 주변 지역들도 조금씩 찾아봐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해당지역에 전세로 거주하기 편한지, 월세로 거주하기 편한지 등등을 고려하면서 집값이 많이 오를 수 있는 지역을 찾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추가적으로 책을 통해 배운 내용은 앞으로 아파트 노후도가 심해지면서 재생사업이 활발해질 수 있습니다. 이는 결정적으로 공급에 영향력을 미치지는 않으나 멸실 물량이 급증할 수 있으므로 이부분 유의해서 부동산 시장을 바라봐야겠습니다. 추가적으로 3기 신도시나 정책 변화사항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해야겠습니다.
-> 나만의 부동산 루틴을 만들어서 꾸준히 공부를 하고, 경제 신문과 부동산 시장 뉴스를 확인하자.
# 저는 해당 분야의 전문가가 아니며 포스팅한 모든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으며 어떠한 법적 책임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모든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린이의 부동산 공부 일지 23.06.28 (1) | 2023.06.28 |
---|---|
부린이의 부동산 공부 일지 23.06.26 (1) | 2023.06.26 |
부린이의 부동산 공부 일지 23.06.21 (0) | 2023.06.21 |
내가 보려고 쉽게 정리하는 부동산 용어 건폐율, 용적률 (0) | 2023.06.20 |
내가 보려고 쉽게 정리하는 부동산 용어 LTV, DTI, DSR (0) | 2023.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