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용,,, 끄적이잉입니당,,ㅎㅎ
오늘은 투자하다보면 ETF나 자신의 포트폴리오의 성과를 되돌아볼 수 있는 지표를 공부해보려고 하는데용,,
투자하고 나서 꼭 해야하는게 수익은 잘 내었는지,,?
위험대비 얼마나 수익을 벌어들였는지,,?
등등 에 대해 채점하는 과정이 필요한데용,,
그리고 사실 투자를 잘한다는 것은,,
수익률만 높은게 아니라
위험을 얼마나 관리했느냐가 중점인데용,,ㅎㅎㅎ
바로 샤프지수(Sharpe Ratio)를 통해 투자 성과를 점검해볼 수 있습니다,,
샤프지수의 장점은 바로 위험대비 얼마나 높은 수익을 벌었는지를 같이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인데용,,
거장들의 포트폴리오나 벤치마크 지수에도 샤프지수가 존재하기 때문에,,
같은 선상에서 비교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 아닐까 싶습니당,,ㅎㅎ
그럼 바로 샤프지수(Sharpe Ratio, Sharpe Index)의 의미와 뜻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당,,ㅎㅎ
#. 샤프지수(Sharpe Ratio)가 뭔데??

출처 : Investopedia
샤프지수(Sharpe Ratio)는 샤프 비율이라고도 하며 금융에서 투자 성과를 판단함에 있어 해당 투자의 위험을 조정해 반영하는 방식입니다,,
윌리엄 F. 샤프(William F. Sharpe)교수가 1966년에 개발한 투자 성과 판단용 지수이기 때문에,, 샤프 교수님의 이름을 따서 샤프지수로 명명되었다고 합니당,,ㅎㅎ
어떤 투자의 수익률이나 그 투자에 대한 벤치마크(Bench Mark)가 되는 자산의 수익률을 가지고 계산하는 방식인데용,,
샤프지수는 투자 자산 또는 매매 전략에서 일반적으로 위험이라 불리는 편차 한 단위 당 초과 수익(=리스크 프리미엄)을 측정하는 지수입니다,,
즉, 쉽게 말하면 리스크 대비 수익률을 말하는 지표라고 할 수 있는데용,,
같은 수익을 내더라도 변동성이 적어 상대적으로 리스크가 덜 했다면 더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공식은 위 식과 같은 방법으로 계산되구용,,
좀 더 자세히 보자면,,

출처 : Business Insider
사전적 샤프 지수 : (기대되는 투자의 수익률 - 벤치마크 수익률)의 기대값을 (기대되는 투자의 수익률 - 벤치마크 수익률)의 표준 편차로 나눈 것입니다,,
사후적 샤프 지수 : (실현된 수익률 - 벤치마크 수익률)의 평균을 (실현된 수익률 - 벤치마크 수익률)의 표준 편차로 나눈 것을 말합니다,,
샤프지수는 정보 비율(Information Ratio)와도 유사한 의미를 갖는데용,,
정확하게 보면,,
샤프 지수는 자산의 무위험 수익률에 대한 초과 수익률(Excess Return)을 수익률의 가변성(Variability) 또는 표준 편차로 나눈 것을 말하는데,,
정보 비율은 가장 적합한 기준 지표에 대한 초과 수익률을 초과 수익률의 표준 편차 또는 추적 오차(Traking Error)로 나눈 것을 말합니다,,
즉, 정보 비율은 Active Return을 Active Risk로 나눠주는 식이여서,,
차감해주는게 무위험 수익률이 아닌 Benchmark Return(=Active Risk)가 되는 것입니다,,

출처 : Corporate Finance Institute
더 쉽게 이해하고자 예시를 한 번 들어보자면,,
- 1년 동안 코스피가 20% 오름 (= 기준 지표 자산의 수익률, Benchmark Return)
- 1년 동안 내 포트폴리오는 30% 오름 (= 자산 수익률, Portfoilio Return)
- 내 포트폴리오 월간 수익률에서 코스피의 월간 수익률을 뺀 값의 표준편차가 5% (= Variability)
- 사후적 샤프 지수 = (0.3 - 0.2) / (0.05 * 12^(1/2)) = 0.57이 됩니다,,
#. 그럼 샤프 지수는 높은게 좋은거야? 낮은게 좋은거야?

출처 : WallStreetMojo
샤프지수는 높을 수록 더 적은 위험으로 더 높은 수익률을 내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수익률이 같은데 샤프지수가 더 높다면 더 적은 리스크를 통해 같은 수익을 냈다고 보는 것이니까,,
비록 같은 수익률이라 하더라도 투자를 더 잘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펀드나 ETF를 매수할 때도 마찬가지인데용,,
뭐가 더 좋은 상품인지 확인하기 어려울 때 하나의 참고 자료로 샤프지수를 확인할 수 있고,,
샤프지수가 더 높은 펀드나 포트폴리오, ETF가 더 좋은 상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샤프지수가 0 이상이 되어야 투자 고려 대상으로 보고,,
만약 샤프지수가 1 이상이라면 상당히 괜찮은 투자를 하고 있다고 판단합니다,,

그리고 항상 말씀드리는 것이지만,,
100% 예상하고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의 영역이기 때문에,,
샤프지수 역시 샤프지수 하나만 보고 투자하는 것은 상당히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데용,,
샤프지수 역시 수익률의 분포가 정규 분포와 크게 차이나는 투자 대상이거나 꾸준히 작은 수익을 내다가 한 번 크게 잃는 투자 전략 같은 경우에는 샤프 지수로 봤을 때 다른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이상 샤프지수(Sharpe Ratio, Sharpe Index)의 의미와 뜻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용,,,
투자공부를 하다 보면 불확실성도 많고,,
상당히 많은 지표나 자료들이 많기 때문에,,
그에 합당한 지표나 지수들이 너무 많은 것 같습니다,,
다 공부하려고 하니 너무 많아서 엄두가 나지 않을 때도 있는데용,,,
그래도 시황이나 상황도 너무 급변하기도 하고,,
내가 투자하는 시점이 어떤 상황인지 빠르게 파악해서
거기에 제일 합리적인 지표나 지수를 확인하고 다른 방법들을 같이 사용해서 투자해야
좋은 수익률을 올릴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당,,ㅎㅎㅎ
그렇기에 하나나 몇가지 지표나 지수만 보고 투자하다가는 상당히 큰 손실을 볼 수 있을 것 같구용,,
시황이나 상황에 따라 알맞는 지표나 지수들을 여러개 조합해본 후에 투자 의사 결정을 내릴 때 하나의 참고 자료로 사용하는 것이 좋은 투자 결정을 하는데 도움을 주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년 06월 맥쿼리 인프라 500주 모으기 #9 (2) | 2025.07.01 |
---|---|
25년 06월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ETF 1000주 모으기 #11 (1) | 2025.06.26 |
시황 칼럼 및 매매일지 1편 더욱 커져가는 불확실성과 고민이 깊어진 트럼프 (6) | 2025.06.26 |
마틴게일 베팅(Martingale Trading Strategy)의 의미와 뜻에 대하여 (0) | 2025.06.20 |
리스크 프리미엄(Risk Premium)의 의미와 뜻에 대하여 (3) | 2025.06.19 |